깃에서 파일을 바꾸려면
작업 트리에 있던 파일을 add 명령어를 통해 스테이지로 올리고, 이 스테이지에 있는 파일을 커밋해서 저장소로 옮겨야 합니다.
명령어 | 의미 |
git config user.name '(이름)' | 깃 환경에서 이름을 (이름)으로 지정 |
git config user.email '(메일주소)' | 깃 환경에서 메일을 '(메일주소)'로 저장 |
git init | 현재 위치에 지역 저장소를 만듦 |
git status | 깃 상태를 확인함 (commit이 되어있는지 등) |
git add (파일명) |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림 |
git commit -m '(남기고 싶은 메시지)' | 커밋 메시지를 붙여서 커밋함 |
git commit -am '(남기고 싶은 메시지)' | 한 번 커밋한 파일일 때는 -am 옵션을 통해 스테이징과 터밋을 한 번에 처리 |
git log | 커밋 정보를 확인함 |
git diff | 최근 버전과 작업 폴더의 수정 파일 사이의 차이를 보여줌 |
git checkout -- (파일명) |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함(작업 트리에 있는 파일을 복구하려는 용도) |
git reset HEAD^ | 가장 최근 커밋을 취소함 |
git reset (커밋 해시) |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하고 이후 커밋은 취소함 |
git revert (커밋 해시) | 지정한 커밋 해시를 취소하고 기록으로 취소한 커밋을 남겨둠 |
reset은 지정한 커밋으로 이동하면서 그 앞에 있었던 것은 모두 기록에서 날라가고,
revert는 지정한 커밋을 취소하면서 git log에 취소한 기록을 남깁니다.
참고하기 좋은 링크 :
checkout 명령어는
https://git-scm.com/docs/git-checkout
Git - git-checkout Documentation
When there is only one argument given and it is not -- (e.g. git checkout abc), and when the argument is both a valid (e.g. a branch abc exists) and a valid (e.g. a file or a directory whose name is "abc" exists), Git would usually ask you to disambiguate.
git-scm.com
'프로그래밍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ash 명령어 정리 (4) 깃허브 (0) | 2021.07.20 |
---|---|
Git bash 명령어 정리 (3) 브랜치 (0) | 2021.07.20 |
Git bash 명령어 정리 (1) 리눅스 (0) | 2021.07.19 |
[SQL] Database (0) | 2021.03.29 |
Numpy에 대하여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