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작성할 때 편하게 수식을 쓰거나 숫자 및 단위를 쓰기 위해 매크로를 만들 수도 있지만 기존에 있는 package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논문 양식에서 physics와 siunitx 패키지가 있었는데 이를 잘 활용하면 좋다
1. 미분/편미분 표기
\usepackage{physics}
\dv{x}{t} = \dfrac{\mathrm{d}x}{\mathrm{d}t}
\pdv{x}{t} = \dfrac{\partial{x}}{\partial{t}}
다음과 같이 $\mathrm{d}x$와 $\partial{x}$는 위와 같은 분수를 많이 쓸 때 계속 써주기 귀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dv와 pdv 명령어를 이용해서 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2. 숫자에 단위 표기하기
글 안에서 숫자를 쓸 때 $$ 기호를 써서 안에 숫자를 표기해야 한다. 이 때 단위도 같이 포함해야하는 경우에는
\usepackage{siunitx}
\qty{100}{\second}
굳이 $$를 쓰지 않고 글 안에서 바로 \qty{100}{\second}와 같이 써서 math mode로 작성할 수 있다. SI 유닛을 \second와 같이 제공하기 때문에 단위도 깔끔하게 작성할 수 있다.
3. 복잡한 숫자표기
글 내부에서 복잡한 숫자를 표기할 때 siunitx를 사용해서 복잡한 숫자 역시 표현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복소수나 곱으로 표현된 숫자, 또는 큰 숫자를 10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 등등 다양한 숫자 표현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매뉴얼을 보면 더 자세히 나와있다.
각도 표현, 단위가 있는 숫자 표현, 숫자가 굉장히 크거나 작은 경우($10e-6$) 등등에 활용할 수 있다.
'기타 > 논문작성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작성] Word에 수식번호 추가하기 (0) | 2023.09.13 |
---|---|
[LaTeX] LaTeX Error: Command \openbox already defined. (0) | 2023.06.16 |
[Overleaf] 고치던 파일이 컴파일되기 전에 날아갈 때 (0) | 2023.05.28 |
[논문작성] 논문 리뷰에 대한 응답 (0) | 2023.05.17 |
[논문작성] Acronym, Abbreviation 차이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