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글 (2) : Abstract, Index Terms, Nomenclature, Text section headings 쓰는 법
다음글 (3) : Introduction, text equations, appendix, acknowledge, reference, figure와 table, biography 쓰는 법
다음글 (4) : 각주, 텍스트 내 리스트, 헌정사 쓰는 법
다음글 (5) : 축약어, 두문자어, 각종 문법적인 내용 및 글자 쓰는 방법에 대한 지침
다음글 (6) :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문법이나 용어들 정리
영어로 보고서를 작성하다보니 항상 형식 및 문법이 문제가 된다.
형식과 문법은 내용에 비하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잘 갖춰진 형식과 문법의 글은 독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읽기 편하게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공부를 해야겠다고 느끼던 때에, 논문마다 저자를 위한 메뉴얼을 배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IEEE라는 공학 쪽에서 명성 있는 저널의 Author guide을 활용해 공부하기로 했다.
이 글은 IEEE Editorial style manual for authors이라는 문서를 번역하고 내가 설명을 덧붙인 것이다. 세부적인 내용이 많다보니 다 기억하기 힘들어서 나중에라도 다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한 글이며, 나중에 논문을 많이 읽다보면 더 정교하게 수정할 수도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 문서는
위 링크에서 구할 수 있다.
Ⅰ. Introduction
이 문서의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는 파트인데 특별한 내용은 없다.
IEEE Transactions, Journals, and Letters를 쓰는 데의 일반적인 글쓰기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며, IEEE는 저자의 뜻을 해치지 않게 문법적인 오류를 지적하도록 한다고 말하고 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저자는 IEEE의 Author Center에 방문하도록 하자.
Ⅱ. Writing Principles
기본적으로 글은 다음과 같은 1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고, 이 문서는 각 부분을 어떻게 쓰면 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1) Title page (article title, byline, membership, and first footnote)
2) Abstract (한 문단, 150에서 250개의 단어로 구성)
3) Index Terms
4) Nomenclature (optional)
5) Introduction
6) Body of Article
7) Conclusion
8) Appendix
9) Acknowledgement
10) References
11) Photos and Biographies
여기서 내가 모르는 단어는
byline
membership
first footnote
인데 각각에 대해서 뒤에 설명이 있으므로 넘어가도록 한다.
A. Writing Parts of an Article
A-1. Title
title의 경우 보통 첫 글자가 대문자로 쓰여지는 것은 알고 있지만 대문자로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예외를 고려해야한다는 것인데 다음과 같은 법칙을 고려하자.
- Nouns(명사), pronouns(대명사), verbs(동사), adverbs(부사), and subordinating conjunctions(종속접속사) (If, Because, That, Which)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 Abbreviations(축약형)은 unit abbreviations and acronyms 제외하고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 문장의 처음과 끝이 아닌 이상, articles(관사) (a, an, the), coordinating conjunctions(등위접속사) (and, but, for, or, nor), most short prepositions(전치사)는 소문자로 쓴다.
- Prepositions of more than three letters (Before, From, Through, With, Versus, Among, Under, Between, Without)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 방정식은 제목에 넣는 것을 지양해야한다.
3글자보다 더 많은 전치사는 대문자로 쓰고, 3글자 이하는 소문자로 쓴다는 점이 특수한 경우이므로 기억하자.
A-2. Byline and Membership Citation
byline은 영어 사전을 찾아보면 필자 이름을 적은 행이라고 한다.
위와 같은 예시를 보면 저자의 이름 외에 membership grades를 추가해서 넣어놓았다. 닉네임을 쓰지 말고 본인의 본명을 쓰라고 한다. 한국인의 경우에는 홍길동처럼 성(Last name, family name) + 이름(First name)으로 쓰지만 위처럼 영어로 저자 이름을 쓸 때는 길동 홍(Gildong Hong) 이렇게 쓴다. 성을 먼저 쓰는 경우는 H. Gildong 또는 Hong, Gildong 이렇게 쓴다.
내가 찾은 논문들 중에 이렇게 저자 이름 외에 IEEE의 멤버십을 쓰는 경우를 본 적은 없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논문에서 나온 저자들 목록이다.
보통 이름을 그대로 적지만, middle name이 있을 때는 줄여서 쓴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In the U.S., the "middle name" is often abbreviated to themiddle initial (e.g. Mary Lee Bianchi becomes Mary L. Bianchi)
A-3. IEEE Membership Grades
위에서 나온 것처럼 IEEE Membership Grades는 Student Member, Graduate Student Member 등의 멤버십 등급이 있고 추가해서 넣기도 한다.
A-4. IEEE Open Access Publishing
Open Access article이 아닌 경우에는 IEEE Copyright Form을 제출해야한다고 나와있다.
논문을 유심히 보면 copyright line이 들어가있다. copyright line에 여러 타입의 copyright가 존재한다.
위 그림에서 맨 앞에 있는 8개의 숫자는 ISSN code for the Transactions (also found on the front cover of the printed book) 을 의미한다.
그리고 Copyright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할 때 A,B,C Section에 싸인을 하는데 어떤 섹션에 동의하는지에 의미가 있다. 각 섹션에 무슨 의미인지는 내가 논문을 써서 Copyright form에 싸인을 할 때 쯤에야 알 것 같다.
Open Access Publishing (OA)의 경우에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CCBY) 4.0 License를 사용한다. 저작권 동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찾아봐야겠지만, 이 문서가 제공하는 바에 따르면 위 저작권에 승인한다면 내 논문 work의 attribution이 제공되는 한, 배포, 재사용, 수정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상업용 목적으로도 가능하다고 한다.
A-5. First Footnotes
footnote는 각주, 부차적인 존재라고 사전에 나와있다. 논문을 볼 때 맨 밑 작은 글씨로 나와있는 내용에 대한 설명이다. 최소 3개의 paragraph로 구성된 first footnote는 문단 별로 들어가야할 내용이 다르다.
이 First footnote는 번호가 매겨지지 않으며, 이 이후에 작성되는 각주들은 당연히 번호가 부여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논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내용이다. 위 예시에서는 4개의 문단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맨 마지막 문단(DIgital Object Identifier)를 제외하고 보통 세 개의 문단을 확인할 수 있다.
1) 첫 번째 문단 내용
첫 번째 문단의 경우에는 논문의 received, revised, and accepted dates가 포함되어있다. revision이 한 번 이상으로 이루어졌을 때는 각 날짜를 모두 적는다. 또한 IEEEXplore에 올라왔을 때를 구분할 수 있는데 위 그림에서 있는 Date of publication은 IEEEXplore에 "single article"이 올라왔을 때(preprint or rapid post--ePub date)이고 the date of current version은 "final--paginated" version이 IEEEXplore에 올라왔을 때이다.
그리고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에 대해서 쓰는 부분이 있는데 첫 번째 문단의 마지막 이탤릭체로 되어있는 부분이다. 위 그림에서는
(Corresponding author: John Smith.)
이렇게 되어있다. 모든 글은 반드시 교신저자가 들어가 있어야 한다.
모든 저자가 공평하게 논문에 기여했을 경우 Equally contributed authors임을 드러내야 한다.
또한 공동 1저자임을 드러내고 싶을 때가 있다. 보통은 1저자를 한 명만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위에서처럼 contributed equally라고 쓸 필요없이, co-first authors라고 표현한다.
Volunteer Associate Editor를 드러내는 말도 넣을 수 있다. 정확히 volunteer associate editor가 뭔지는 모르겠다.
또한 위의 예시를 자세히 본 사람이라면 눈치챌 수 있는데, Financial support를 적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under Grant 90210 and Grant ECS-12345.
와 같은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Prior presentation이 있었을 경우에는 언급을 해야한다. 이 논문을 이전 컨퍼런스에 제출했었던 적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문서에서 논문을 의미할 때는 article이라고 하는데 conference에서 발표한 글은 paper라고 표현하고 있다. 또한 박사학위 논문(dissertation)이나 학위 논문(thesis)에 이미 논문의 내용을 써놓은 경우에도 꼭 첫 문단의 마지막 줄에 그 내용을 언급하라고 나와있다.
이 예시에서는 컨퍼런스에 발표된 적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부분은 조금 알아봐야할 것이, 컨퍼런스에 이미 발표한 적이 있는 내용을 그대로 논문으로 출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기 때문이다.
2) 두 번째 문단 내용
Author Affiliation
저자의 소속을 밝혀야 한다. 기본 구성은 예시를 그대로 따라 쓰면 된다.
저자의 학과, 대학, 대학 주소(zip 번호 포함) (이메일 주소)
와 같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위는 예시이므로 참고해서 쓰자.
또한 저자가 여러 명일 때 소속이 다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1저자부터 순서대로 쓰고, 소속이 다르면 line을 다르게 해서 쓰며 이메일 주소는 세미콜론으로 구별하라고 나와있다.
예시를 보면 세 명의 저자가 소속이 다를 때, line으로 구별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메일 주소는 구체적인 예시로 안 보여줬지만 세미콜론으로 구별한다. (이는 직접 검증해봐야할 부분)
저자가 소속된 단체가 논문을 제출할 때와 출간할 때가 다를 때는 그 저자의 현재 소속을 알고 있다면 그 소속을 같이 써준다.
저자가 소속된 곳에서 현재 직무를 안하고 있을 때 아래 예시처럼 적는다. (이것을 on leave from이라고 표현하는데, 정확히는 휴가라는 말이라서 혼동스러움) 아래 예시를 보면 논문을 쓴 당시의 소속이 먼저 적혀있고 on leave from (소속) 이 아마 이전 소속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은퇴하거나 사망한 저자가 있을 때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은퇴한 경우에는 현재 어디에 살고 있는지 적는다.
Consultant(아마 자문위원인 듯)가 있을 때 retired author처럼 처리한다.
또한 추가로 몇 가지 노트가 있다. 간단히 요약해서 적는다.
- street addresses를 적지 마라. U.S.의 경우에는 official U.S. Postal Service abbreviations for states and include U.S. zip codes, and country를 쓰는데 내가 미국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international cities, countries, zip codes를 포함한다.
위와 미국인의 경우이고, 한국인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Department of (학과 이름), (대학 이름) University, Seoul (도시이름) + 우편번호, South Korea
이렇게 쓰는 것을 다른 논문에서 확인했다.
- Department나 subdivision 먼저 적고, 그 다음에 회사나 학교 이름을 적는다. 회사의 경우에는 company나 corporation이라고 적지 말고 "Ltd.", "Inc."라고 적는다.
- Book review일 경우에는 혼동할 수 있으므로 "The author is with..."이렇게 적지 말고 리뷰어인 신분을 드러내기 위해 "The reviewer is with..."이렇게 적어라. (가끔 문서 중에 책 리뷰 글도 있는데 이런 글을 쓸 경우를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 특수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asterisk(*)나 dagger(†)를 footnote in IEEE Transactions을 referenceing하는데에 쓸 수 없다.
3) 세 번째 문단 내용
세 번째 문단은 online version에는 컬러로 된 삽화가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쓰거나 다른 multimedia 자료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 사용한다.
컬러 버전이 있음을 알리는 말을 적을 때 위와 같다.
멀티미디어 문서가 있음을 알리는 말을 적을 때 위와 같다.
'기타 > 논문작성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작성] IEEE Editorial Style Manual For Authors 정리 (4) (0) | 2022.01.04 |
---|---|
[논문작성] IEEE Editorial Style Manual For Authors 정리 (3) (0) | 2022.01.03 |
[논문작성] IEEE Editorial Style Manual For Authors 정리 (2) (0) | 2021.12.29 |
[LaTeX] PPT에서 LaTeX 쓰기 : IguanaTeX 설치 방법 (4) | 2021.12.09 |
[LaTeX] LaTeX 공부자료 모음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