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비행체 제어 - 좌표계
·
항공우주 Aeronautical engineering
비행체 제어에서 쓰이는 좌표계에 대해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비행체 제어는 쓰임에 따라 좌표계를 바꿔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각각의 좌표계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쓰임에 맞게 좌표계를 정하고 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Latitude : 위도 *Geocentric latitude($\lambda$) : 지구중심 위도, 지구 중심에서 지구 표면까지 radius vector를 표시했을 때 적도면과 이루는 각 *Geodetic latitude($\mu$) : 지표 위도, 지구 표면에서 수직한 벡터를 표시할 때 이 벡터가 적도면과 이루는 각 $\rightarrow$ 지구가 완벽한 구형이라면 geocentric latitude와 geodetic latitude는 일치하지만, 지구는 완벽한 구형이 아닌 타원형..
[항공우주] 비행체 제어 - 오일러각
·
항공우주 Aeronautical engineering
서론 열심히 mpu-9250(9DOF IMU sensor)로 roll, pitch, yaw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다가 개념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고민했습니다. 다들 저마다 설명을 하긴 하지만 무언가 명확하지는 않더군요. 예를 들면, 가속계에서 roll, pitch는 구할 수 있는데 왜 yaw는 구할 수 없는가? 물론 가속계만 두고 봤을 때 z축으로 회전을 하면 가속계 값 자체는 변하지 않으니까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나아가서 생각해보면 z축 뿐 아니라 x축, y축으로도 조금씩 다 회전을 하면 어쨌든 roll, pitch, yaw가 뒤섞인 결과값이 나오니 방정식을 풀어서 yaw를 구할 수 없는 건가 궁금했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굴레에 빠지신 분이 있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
[센서] MPU-9250
·
카테고리 없음
**공부하면서 계속 추가할 예정인 글 # MPU-9250이란? 3축 가속계, 3축 자이로스코프, 3축 지자기센서가 결합한 9축 motion tracking device 통신방식 : I2C(400kHz), SPI(1MHz) # 각 pin의 의미 VCC : 전원 GND : 그라운드 SCL/SCLK : I2C serial clock (SCL); SPI serial clock (SCLK) SDA/SDI : I2C serial data (SDA); SPI serial data input (SDI) EDA : ECL : AD0/SDO : I2C Slave Address LSB (AD0); SPI serial data output (SDO) INT : Interrupt digital output (totem pole..
[고등자동제어] LTI 시스템의 state equation 풀기 (2)
·
연구 Research/제어 Control
1. Discrete time first order system (scalar) $x(k+1)=ax(k)+bu(k)$ $x(k_{0})=x_{k_{0}}$ 다음과 같은 시스템의 solution : $x(k)=a^{k-k_{0}}x(k_{0})+\sum_{j=k_{0}}^{k-1}a^{(k-1-j)bu(j)}$ 앞서 continuous time에서도 말했듯이 free response와 forced response의 조합으로 구할 수 있다. 2. Discrete time nth order system (matrix) 1) State equation $x(k+1)=Ax(k)+Bu(k)$ $x(k_{0})=x_{k_{0}}$ $x\in R^{n}, A\in R^{n\times n}$ solution은 $x(k)..
[고등자동제어] LTI 시스템의 state equation 풀기 (1)
·
연구 Research/제어 Control
앞서 본 State space model을 식으로써 풀어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미분방정식은 풀 수 있다면, 그것을 확장하여 행렬로 이루어진 미분방정식도 풀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스칼라 계수를 가진 미분방정식을 풀고 이것을 행렬로 확장할 것입니다. 1. Continuous time first order system (scalar) 시스템에서 continuous time first order system은, $\frac{dx(t)}{dt}=ax(t)+bu(t)$ $x(t_{0})=x_{0}$ 다음과 같이 주어져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linear하기 때문에 $\frac{dx(t)}{dt}=ax(t)+bu(t)$와 $\frac{dx(t)}{dt}=ax(t)$의 solution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
[프로젝트] 시리얼 통신 정리
·
카테고리 없음
통신에 대해서 공부하기 위해 유튜브의 좋은 영상들을 많이 참고하였다. 링크도 정리 Electronoobs https://youtu.be/IyGwvGzrqp8 https://youtu.be/4xBjrE9csxg 왜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인가? serial은 직렬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즉, 직렬로 통신을 한다는 뜻이다.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는 이유는, 패러렐 통신(Parallel communication)이 어렵기 때문이다. 디지털 통신을 할 때 숫자를 보내는데 이 숫자가 1001과 같이 4bit로 되어있다고 해보자. 이 4 bit를 각각의 선으로 연결해서 동시에 보내면 좋겠지만, 숫자가 커질수록 많은 선이 필요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선..
[고등자동제어] 제어에서 필요한 수학 개념
·
연구 Research/제어 Control
제어에서 많이 쓰이는 수학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사실 상 전부 linear algebra 내용입니다. 1. Field F Definition : a set of elements called scalars together with two binary operations, addition(+) and multiplication(·) such that for all $\alpha,\beta,\gamma \in F$ 1) Closure : $\alpha\cdot\beta\in F, \alpha+\beta\in F$ 2) Commutativity : $\alpha\cdot\beta=\beta\cdot\alpha, \alpha+\beta=\beta+\alpha$ 3) Associativity 4) Dist..
[고등자동제어] System modeling
·
연구 Research/제어 Control
이번에는 system을 modeling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tate space model이나 transfer function을 다루기 이전에 알아야할 내용인 것 같습니다만, 기초적인 제어 내용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내용을 정리하다보니 이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시스템에는 각 element에 따라 differential equation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differential equation이라 해도 state variables를 무엇으로 잡는지에 따라 state space model이 달라집니다. 우리의 목표는, 여러 elements가 있는 시스템에서 일관되게 모델링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있는 각 element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기타] 전자(electronic)와 전기(electrical)은 무슨 차이일까?
·
기타
Q. What difference between electronic and electrical? 문득 전자적 시스템에 대해서 쓰다가 의문이 들더군요, 전자전기공학과 할 때 두 개가 무슨 차이더라? 전자전기공학과인지 전기전자공학과인지 헷갈린 적이 있나요? (옛날에 포스텍 입학사정관님이 말하기를, 카이스트와 혼동해서 포스텍은 전자전기공학과인데 카이스트의 '전기전자공학'으로 쓴 학생이 있다더군요. 카이스트의 정식이름은 '전기및전자공학부'입니다.) electrical은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의, 라는 뜻입니다. electronic은 전자의, 전자 활동에 의한, 이라는 뜻입니다. 1. 영영사전 참고 electrical(electric) : An electric device or machine works by me..
[고등자동제어] State space와 transfer function의 관계
·
연구 Research/제어 Control
MATLAB에서는 친절하게 State space model과 transfer function 간에 전환하기 쉽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굳이 원리를 몰라도 state space model에서 transfer function으로 바꿀 수도 있고, 반대도 가능합니다만, 저는 원리를 다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0. System의 input과 output의 관계 어떤 LTI 시스템에서 input u(t)을 넣었을 때 output y(t)를 구하는 방법은, u(t)*g(t) (g(t) : Impulse response)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즉, u(t)와 g(t)를 convolution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frequency domain 또는 s domain에서 쉽게 곱셈으로 풀 수 있기 때문에, time ..